갑자기 ChatGPT가 안 된다고?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 장애로 전 세계 인터넷 '먹통' 대란!

어제 저녁(2025년 11월 18일) 갑자기 Claude가 안 열리더라고요.
이게 뭐지 돈내고 Pro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접속조차 안되면 어떻게 하자는거야?
클로드 못 쓰겠는데... ㅠㅠ
처음에는 클로드 문제로만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다른 AI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접속해보았는데 모두 안되는 겁니다.
ChatGPT도 안 되고, Perplexity도 접속이 안 되고...
알고 보니 저만 그런 게 아니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동시다발적인 대규모 접속 장애가 발생했던 거예요.
범인은 바로... 클라우드플레어!
이번 사태의 주인공은 바로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라는 회사입니다.
"클라우드플레어가 뭐길래?"
쉽게 말하면, 인터넷의 고속도로 같은 역할을 하는 회사예요.
전 세계 웹사이트들의 콘텐츠를 빠르게 전달해주고,
해킹이나 트래픽 공격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죠.
놀랍게도 전 세계 인터넷 트래픽의 약 20%를 클라우드플레어가 처리하고 있답니다!
그러니까 클라우드플레어가 망가지면...
인터넷 세상의 1/5이 동시에 멈춰버리는 거죠
언제 발생했나?
한국 시간 기준으로 11월 18일 저녁 10시 20분 경부터 클라우드플레어 네트워크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사용자들이 본격적으로 문제를 보고하기 시작한 건 한국시간 저녁 8시 30분쯤(미국 동부 시간 오전 6시 30분경 부터였어요.
저도 작업하다가 갑자기 Claude가 안 열려서...
"어? 이거 좀 이상한데?" 했는데...
다운디텍터(Downdetector)라는 사이트에서 확인해보려고 했더니...
그 사이트조차 접속이 안 되더라고요! ㅠㅠ
아이러니하게도 다운디텍터도 클라우드플레어를 사용하고 있어서...
"인터넷 장애를 추적하는 사이트"가 스스로 장애를 겪은 셈이죠... ^^;;
어떤 증상이 나타났나?
웹사이트에 접속하려고 하면 이런 메시지들이 떴습니다:
1) 500 Internal Server Error
가장 흔하게 나타난 오류예요.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대표적인 에러 메시지죠.
"Cloudflare 네트워크 내부 서버 오류,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십시오"라는 메시지가 함께 떴습니다.
2) "계속하려면 challenges.cloudflare.com 차단을 해제하세요"
이게 좀 특이한 메시지였어요!
나는 뭘 차단한게 없는데... ㅠㅠ
challenges.cloudflare.com은 클라우드플레어의 보안 검증용 도메인입니다.
- 봇(자동화 프로그램)을 감지하고
- 악성 요청을 걸러내고
-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역할을 해요.
이번 장애로 이 도메인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마치 "이 도메인이 차단됐으니 풀어달라"는 메시지가 뜬 거예요.
실제로는 차단이 아니라 시스템 자체가 다운된 거였는데 말이죠
3)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
무한 로딩...
기다려도 기다려도 안 열리는...
그 답답함 아시죠? ㅠㅠ
이 모든 증상의 공통점은?
클라우드플레어의 봇 관리 시스템이 먹통이 되면서 발생한 거였습니다!


어떤 서비스들이 영향을 받았나?
정말 어마어마하게 많은 서비스들이 동시에 먹통이 됐어요.
1) 소셜 미디어
- X (구 트위터) - 5,200명 이상이 장애 신고!
2) AI 서비스
- ChatGPT - 작업 중이던 사람들 멘붕...
- Claude
- 퍼플릭시티
- 제미나이
3) 게임
- 리그오브레전드(LOL) - 게이머들 난리
- 여러 온라인 게임들
4) 기타 서비스
- 스포티파이 (음악 스트리밍)
- 캔바 (디자인 도구)
- Discord (커뮤니케이션)
- Amazon 일부 서비스
- DefiLlama, Arbiscan 등 암호화폐 관련 사이트들
- 심지어 다운디텍터도!
배달 앱, 금융 플랫폼 등도 영향을 받았다고 합니다.
진짜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서비스들이 거의 다 마비된 거죠.
재미있는(?) 에피소드들
1) 맥도날드 키오스크도 다운!
미국의 한 맥도날드 매장에서는 셀프 주문 키오스크가 클라우드플레어 오류로 작동하지 않았대요.
햄버거 주문도 못하는 상황...
2) 핵발전소 출입 시스템 마비
PADS (Personnel Access Data System)라는 핵발전소 신원조회 시스템도 영향을 받았어요.
일시적으로 방문자 출입이 불가능했다고...
보안이 중요한 시설인데 이런 일이 생기니 좀 무섭기도 하죠.
3) 게임하다가 튕긴 사람들
리그오브레전드 유저들은 게임 중에 갑자기 연결이 끊겨서 난리가 났고...
RuneScape 플레이어들은 로그인도 안 되고 위키도 볼 수 없어서 Reddit에 아우성쳤대요.
정말 인터넷이 우리 생활 구석구석에 얼마나 깊숙이 들어와 있는지 실감하게 되는 순간들이었습니다!
원인은 무엇이었나?
클라우드플레어 CTO 데인 넥트(Dane Knecht)가 공식 사과문을 통해 밝힌 내용에 따르면...
"봇 차단 시스템에 숨어있던 버그가 일상적인 설정 변경 후 갑자기 폭발했다"는 거예요.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1) 데이터베이스 권한 설정 변경
- 클라우드플레어가 일상적인 시스템 업데이트를 진행했어요.
- 그런데 이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권한 설정을 건드렸습니다.
2) 봇 관리 파일 폭증
- 이 변경으로 인해 "봇 관리 시스템(Bot Management)"이 사용하는 설정 파일에 중복된 항목들이 막 생성되기 시작했어요.
- 원래 정상 크기였던 파일이 갑자기 2배로 커져버린 거죠!
3) 전 세계 서버에 전파
- 이 비정상적으로 커진 파일이 클라우드플레어의 전 세계 모든 서버로 배포됐습니다.
- 각 서버들이 이 거대한 파일을 읽으려다가... 뻗어버린 거예요
4) 연쇄 반응
- 봇 차단 시스템이 다운되니까...
- 트래픽 라우팅 시스템도 영향을 받고...
- 결국 전체 네트워크가 도미노처럼 무너졌습니다.
중요한 점: 이건 사이버 공격이나 해킹이 절대 아닙니다!
단순히 시스템 내부의 잠재적 버그가 일상적인 업데이트 과정에서 터진 거예요.
처음에는 "비정상적 트래픽 급증"이라고 발표했는데...
알고 보니 그게 원인이 아니라 증상이었던 거죠.
봇 관리 시스템이 망가지면서 정상 트래픽도 비정상으로 보이게 된 겁니다.
얼마나 오래 지속됐나?
한국시간 20:20에 시작해서... 약 3시간 반 정도 지속됐습니다.
복구 타임라인:
- 한국시간 20:48 (UTC 11:48) : 클라우드플레어, 공식적으로 문제 인정
- 한국시간 22:30 (UTC 13:30) : 일부 서비스 복구 시작
- 한국시간 23:22 (UTC 14:22) : 수정 작업 진행 중 발표
- 한국시간 23:42 (UTC 14:42) : 수정 완료, "문제 해결됐다고 믿습니다" 발표
- 한국시간 다음날 02:06 (UTC 17:06) : 500 에러 완전히 정상화
영국 런던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시스템이 복구되기 시작했고...
대부분의 서비스는 몇 시간 내에 정상화됐습니다!
X 네트워크와 ChatGPT는 저녁 시간대에 정상화됐고요.
일부 사용자들은 클라우드플레어 대시보드 접속에 조금 더 오래 문제를 겪었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클로드가 거의 밤 12시가 다되어 접속 되었습니다.
저녁 시간 내내 사용을 못한거였죠...ㅠㅠ
클라우드플레어의 대응
클라우드플레어는 장애 발생 직후인 한국시간 20:48에 상태 페이지를 통해 첫 발표를 했습니다:
"다수 고객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광범위한 500 오류, 클라우드플레어 대시보드 및 API 장애"
엔지니어들이 즉시 원인 파악에 나섰고...
약 3시간 만인 한국시간 23:42에 수정 완료를 발표했어요!
그리고 한국시간 다음날 새벽 2:06에는 완전히 정상화됐습니다.
1) CTO의 공식 사과
클라우드플레어 CTO 데인 넥트(Dane Knecht)가 X(트위터)를 통해 공개 사과문을 올렸습니다:
"말을 돌리지 않겠습니다. 오늘 우리는 고객들과 인터넷 전체를 실망시켰습니다. 클라우드플레어에 의존하는 사이트, 비즈니스, 조직들... 우리는 항상 이용 가능해야 하는데 실패했습니다.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짧게 말하자면, 우리의 봇 차단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에 숨어있던 버그가 일상적인 설정 변경 후 충돌을 일으켰습니다. 이것이 우리 네트워크와 다른 서비스들에 광범위한 성능 저하로 이어졌습니다."
"오늘 이것이 실제로 고통을 초래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런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미 작업하고 있습니다."
대기업 CTO가 이렇게 솔직하고 진솔하게 사과하는 모습...
책임감이 느껴지더라고요.
시장 반응과 경제적 피해
1) 주식 시장
이번 사태는 주식 시장에도 바로 영향을 미쳤습니다.
클라우드플레어(NET) 주가는 뉴욕증시 장전 거래에서 3.5~4.1% 하락했어요.
투자자들이 즉각 반응한 거죠.
2) 경제적 손실 규모
업계 분석에 따르면...
이런 대규모 다운타임은 기업들에게 엄청난 비용을 발생시킵니다.
분당 최대 9,000달러(약 1,200만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해요!
3시간 동안 영향을 받았다면...
- 3시간 = 180분
- 180분 × $9,000 = $1,620,000 (약 21억원)
물론 모든 기업이 이 정도 손실을 본 건 아니지만...
전자상거래 플랫폼, 스트리밍 서비스 등은 실제로 매출 감소를 기록했을 거예요.
특히 미국 아침 시간대는 업무가 한창인 시간이라...
많은 기업들이 타격을 받았을 겁니다.
내 시간은 누가 보상해주나요...? ㅠㅠ
과거에도 이런 일이?
사실 클라우드플레어의 장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클라우드플레어 과거 장애:
- 2022년 6월: 약 1시간 30분 동안 지속된 글로벌 중단 사태
- 2023년: 여러 차례 장애 발생
- 2024년 9월: 챗GPT, 제미나이, 티맵, 배민, X 등이 접속 장애
과거에는 주로 라우팅 및 네트워크 구성 문제가 원인이었다고 합니다.
클라우드플레어는 매번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개선 조치를 취했다고 하는데...
여전히 완벽한 해결책은 없는 것 같네요.
최근 다른 대형 장애들
놀랍게도 최근 한 달 사이에 대형 인터넷 인프라 장애가 연달아 발생했어요:
1) 2025년 10월 - Amazon Web Services (AWS) 장애
- 수 시간 동안 지속
- Snapchat, Medicare 등록 시스템 등 영향
- 전 세계 수천 개의 웹사이트와 앱이 다운
2) 2024년 7월 - CrowdStrike 장애
- 사이버보안 업체의 잘못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항공편 중단, 금융 서비스 마비, 병원 수술 연기
- 역대급 규모의 IT 재난으로 기록됨
이번이 한 달 만에 세 번째 대형 장애인 셈이죠...
인터넷 인프라의 취약성이 계속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이 주는 교훈
이번 사태는 우리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던져줍니다:
"우리는 인터넷 몇몇 거대 기업에 너무 의존하고 있다!"
전 세계 수백만 개의 기업과 서비스가 소수의 클라우드 제공업체를 이용하고 있어요.
이런 집중화는 효율성은 높지만...
단일 지점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그 영향이 엄청나게 커진다는 단점이 있죠.
마치 모든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은 것과 같아요.
그 바구니가 떨어지면...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분산된 인프라 구성
한 곳에만 의존하지 말고, 여러 서비스 제공업체를 활용하는 거죠.
2) 예비망 구축
주 서비스가 다운되면 자동으로 전환되는 백업 시스템을 만들어야 해요.
3) 더 강력한 모니터링 시스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기업들도 이제는 "클라우드플레어 하나면 충분해!"가 아니라...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해서 백업 플랜을 만들어놔야겠다"고 생각하게 됐을 거예요.
일반 사용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솔직히 말하면... 일반 사용자가 할 수 있는 건 거의 없어요
이런 대규모 인프라 장애가 발생하면...
그냥 복구될 때까지 기다리는 수밖에 없답니다.
다만, 이런 걸 알아두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1) "내 인터넷만 이상한 건가?" 싶으면 다운디텍터 같은 사이트에서 확인해보기
(물론 그 사이트도 다운됐을 수도...)
2) 여러 서비스가 동시에 안 되면 대규모 인프라 장애일 가능성이 높으니 침착하게 기다리기
3) 중요한 업무나 작업은 여러 플랫폼에 백업해두기
마무리하며...
어제 저녁의 클라우드플레어 장애는...
우리가 얼마나 인터넷에 의존하고 있는지를 실감하게 해준 사건이었습니다.
X도 안 되고, ChatGPT도 안 되고, 게임도 안 되고...
진짜 답답하고 불편했죠?
저도 AI 서비스가 갑자기 안 되니까 정말 할 수 있는 게 없더라고요.
평소에 얼마나 AI에 의존하며 작업하고 있었는지...
이번 기회에 확실히 깨닫게 됐습니다.
"아, 내가 생각보다 AI 없이는 많이 불편하구나!"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다행히 몇 시간 만에 대부분 복구됐고, 지금은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너무 한 가지 도구나 서비스에만 의존하는 건 위험하다는 걸 느꼈어요.
AI든, 특정 플랫폼이든 말이죠.
앞으로는 이런 일이 덜 발생하길 바라면서...
만약 또 이런 일이 생기면 "아, 클라우드플레어가 또 터진 건가?"라고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겠네요 ㅎㅎ
혹시 여러분도 어제 이 장애를 경험하셨나요?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막혔나요?
#클라우드플레어 #Cloudflare장애 #인터넷장애 #X장애 #ChatGPT장애 #Claude장애 #500에러 #웹사이트먹통 #CDN장애 #인터넷마비 #글로벌장애 #클라우드서비스 #인프라장애 #리그오브레전드 #트위터장애 #2025년11월18일 #봇관리시스템 #challengescloudflare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클로드 코드 웹(Claude Code on the Web) 사용 방법, 솔직 리뷰 (0) | 2025.11.11 |
|---|---|
| 윈도우11 설치시 Microsoft 계정 없이 로컬 계정으로 설치하는 방법 (0) | 2025.11.10 |
| 다이슨 에어랩 사용 중 멈춤 현상 해결 방법 (0) | 2025.11.09 |
| 애플 '자존심' 접었다...시리에 구글 AI 연 1조 투입, 2026년 자체모델로 교체 (0) | 2025.11.07 |
| 지금 놓치면 후회! 수퍼쓰레드(Superthread) Pro 평생 무료 받는 법 (0) | 2025.11.05 |

